기술 면접 정리/네트워크 31

물리 계층의 역할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역할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0101같은 비트열로 변환시키고 그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바꿔 통신 케이블에 전달해줍니다. 또한 받은 전기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하는 역할도 합니다. 주요 네트워크 기기: 허브. 리피터 데이터 단위 : 비트 네트워크 전송 매체 유선 케이블과 무선 케이블로 나눠집니다. 유선 케이블 UTP 케이블 : 다이렉트 케이블, 크로스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무선 케이블 라디오파 위성 마이크로파 UTP 케이블 Lan 케이블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다이렉트 케이블 순행하는 케이블 양쪽, 커넥터의 선색을 동일하게 연결하는 방식 크로스 케이블 선색과 크로스가 되어 연결하는 방식 UTP 케이블 규격 UTP 규..

OSI 모델, TCP/IP 모델

친구와 게임을 하는 도중 연결이 끊긴다면 그 원인을 분석해야 합니다. 하지만 어느부분에서 문제가 되는 알 수 있는 규칙이 없다면 에러를 찾기 힘들 것 입니다. 그렇기에 ISO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는 이러한 규정(OSI)모델을 제정하였습니다. OSI 모델 OSI모델을 7계층으로 나누어집니다. 계층 역할 응용 계층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제공 표현 계층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문자를 코드/압축/암호화 등의 방식으로 데이터 변환 세션 계층 세션 연결/설정/ 해제와 통신 방식 결정 전송 계층 네트워크 계층에서 데이터가 전달될 때 데이터가 유실 되거나 에러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더 정확하게 전달 네트워크 계층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라우터)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유니 캐스트/멀티 캐스트/브로드 캐스트

유니 캐스트, 멀티 캐스트, 브로드 캐스트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유니 캐스트 하나의 송신지가 하나의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1:1) 멀티 캐스트 하나의 송신지가 다수의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1:N) 브로드 캐스트 하나의 송신지가 모든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1:All)

캡슐화/역캡슐화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에서 각 계층을 지나게 되고 데이터를 상위 하위 계층으로 보내게 됩니다. 이때 상,하위로 보내는 과정을 캡슐화 역캡슐화라고 합니다. 캡슐화 헤더(목적지 정보, 출발지 정보, 에러 체크 등 필요한 정보)를 붙이는 것 역캡슐화 헤더를 제거하는 것 응용 계층 -> 전송 계층 메시지(응용헤더 + userData)에 TCP헤더를 캡슐화하여 TCP 세그먼트를 만듭니다. 전송 계층 -> 네트워크 계층 TCP 세그먼트에 IP헤더를 캡슐화하여 IP 패킷을 만듭니다.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IP 패킷에 이더넷헤더를 캡슐화하여 프레임을 만듭니다. 누군가에게 데이터를 보낼 때 캡슐화 -> 물리 계층 -> 케이블의 전기 신호 -> 역캡슐화 PDU(Protocol Data Unit) 각 계층..

서버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프로그램 혹은 장치 서버 운용방식 온 프레미스 사내에서 직접 서버 운용실을 두는 방식 주로 게임사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직접 운용하지않고 firebase나 aws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 IaaS(infra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형 서비스로 서버의 CPU/메모리/스토리지 등과 같은 하드웨어 부분을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PaaS(Plateform as a Service) 플랫폼형 서비스로 하드웨어부터 플랫폼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 후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여 개발을 진행합니다. 주로 개발자들이 많이 이요합니다. SaaS(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형 서비스로..

사설 네트워크/공용 네트워크

네트워크 분리는 다양합니다만 사설 네트워크(Private Network), 공용 네트워크(Public Network)가 있습니다. 네트워크(Private Network) 접속하는 사용자를 제한하는 사설 네트워크, 주로 회사 혹은 가정 내의 네트워크 - 사설 IP를 사용 공용 네트워크(Public Network) 접속하는 사용자를 제한하지 않는 공용 네트워크, 인터넷 접속 가능 - 공인 IP사용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사용 공인 IP주소, 사설 IP주소 집 -> Internet -> 집 사설 네트워크 공인 IP 주소 공용 네트워크 공인 IP 주소 사설 네트워크

프로토콜

사람과 사람이 대화할 때 언어가 필요한 것처럼 컴퓨터도 서로 통신을 할 때 네트워크 아키텍츠를 이용해야합니다. 프로토콜 대화를 할 때에도 발음, 문법, 문자를 어떻게 사용할지 규칙이 필요합니다. 네트워크 통신도 데이터 형식, 통신절차등이 필요한데 세부적으로 데이터 형식, 통신 절차등의 규칙이 필요합니다. 그러한 규칙들을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주요 프로토콜 DNS, HTTP, SMTP, POP3, IMAP, SNMP, FTP, DHCP 응용계층(세션, 표현, 응용 계층) TCP, UDP 전송계층 IP 네트워크 계층 이더넷 데이터링크 계층 RS-232, RS-449 물리계층 이러한 프로토콜이 여러 개가 모여서 조합하면 하나의 네트워크 디자인인 '네트워크 아키텍쳐'가 됩니다.

IP와 포트

IP address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 PC의 주소를 나타내는 체계를 IP address(Internet Protocol address, IP 주소)라고 합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PC를 나타내는 IP 주소와 그 주소에 진입할 수 있는 정해진 통로, PORT(포트)에 대해 학습합니다. 네 덩이의 숫자로 구분된 IP 주소체계를 IPv4라고 합니다. IPv4는 Internet Protocol version 4의 줄임말로, IP 주소체계의 네 번째 버전을 뜻합니다. 터미널에서 간단한 명령어로 IPv4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을 열고, nslookup codestates.com 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 IPv4는 각 덩어리마다 0부터 255까지 나..

URL과 URI

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줄임말로, 네트워크 상에서 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이 위치한 정보를 나타냅니다. URL은 scheme, hosts, url-path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작성하는 scheme은 통신 방식(프로토콜)을 결정합니다.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에서는 http(s)를 사용합니다. hosts는 웹 서버의 이름이나 도메인, IP를 사용하며 주소를 나타냅니다. url-path는 웹 서버에서 지정한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여 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이 위치한 경로와 파일명을 나타냅니다. URI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줄임말로, 일반적으로 URL의 기본 요소인 scheme, hosts, url-path에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