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8

환경변수 사용법(2)

.env: Node.js에서 환경변수 영구 적용 명령어 export 로 적용한 환경변수는 현재 사용 중인 터미널에서만 임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환경변수를 Linux 운영체제에 저장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Node.js에서는 파일 .env를 만들어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먼저 .env 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변수를 입력한 뒤 저장합니다. 모듈 dotenv를 이용하면, 파일 .env에 저장한 환경변수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index.js를 다음과 같이 수정하고, 저장합니다. const dotenv = require("dotenv"); dotenv.config(); console.log(process.env.myname); 환경변수를 이용해 API key, DB password..

환경변수 사용법(1)

export: 환경변수 확인하기 && 환경변수 임시 적용 Linux 운영체제에는 이미 많은 환경변수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터미널에 명령어 export 를 입력해, 기록된 환경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export 를 이용하면, 새로운 환경변수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새로운 환경변수 urclass="is good" 을 설정합니다. 이 때 등호 표시(Equal sign, =) 앞뒤에는 반드시 공백이 없어야 합니다. export urclass="is good" 명령어 echo 와 함께 환경변수를 입력하면, 환경변수의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환경변수의 앞에는 달러사인($)을 입력하여, 변수라는 뜻을 터미널에 전달합니다. 명령어 echo 와 함께 환경변수를 입력하면, 환경변수의 값을..

user, group, and other

user: user는 파일의 소유자입니다. 기본적으로 파일을 만든 사람이 소유자가 됩니다. 따라서 user를 소유자라고 하기도 합니다. group: group에는 여러 user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룹에 속한 모든 user는 파일에 대한 동일한 group 액세스 권한을 갖습니다. 많은 사람이 파일에 액세스해야 하는 프로젝트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각 user에게 일일이 권한을 할당하는 대신에 모든 user를 group에 추가하고, 파일에 group 권한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other: 파일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있는 다른 user입니다. 파일을 만들지 않은 다른 모든 user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other 권한을 설정하면, 해당 권한을 global 권한 설정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chmod: ..

Read, Write, Execute 권한

mkdir linux nano helloworld.js console.log("Hello World!");를 입력 후 Ctrl + X, Y, Enter 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새로운 파일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명령어 ls -l 을 프롬프트에 입력하고 Enter(엔터 키)를 누릅니다. 다음과 같은 출력을 만날 수 있습니다. 터미널에 출력된 결과 중에서, 가장 왼쪽의 표현을 살펴보겠습니다. 파일 helloworld.js는 -rw-r--r-- 이라고 출력되었고, 폴더 linux는 drwxr-xr-x 라고 출력되었습니다. 이 표현의 첫 시작인 - 와 d 는 각각 not directory와 directory를 나타냅니다. 폴더이면 d로, 파일이면 - 로 나타냅니다. 이어지는 r, w, x는 각각 rea..

패키지와 패키지 매니저

Achievement Goals 패키지와 패키지 매니저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각 운영체제에 맞는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할 수 있다. MacOS 운영체제에서 터미널을 통해 Homebrew 패키지 매니저를 설치하고 패키지를 관리하는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brew update: 패키지의 업데이트 여부 확인 brew outdated: 업데이트 필요한 파일 조회 brew upgrade: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brew info: 프로그램의 정보 확인 brew install: 프로그램 설치 brew list: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 보기 brew uninstall: 프로그램 삭제 Linux Ubuntu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apt 패키지 매니저에 대해 알고, 명령어를 통해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다. apt up..

관리자 권한과 경로

cd ./hi # 현재 폴더 아래의 hi 폴더로 진입하는 명령 pwd ls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 절대경로 Ubuntu /home/[username]/helloWorld/hello/ 라는 예시를 보면 helloWorld라는 파일 내에 hello라는 파일 내부로 들어가는 절대경로입니다. 상대경로 상대 경로는 특정 폴더 또는 파일의 위치를 현재 위치를 기준점으로 나타내고 현재 위치한 폴더는 점(.)으로 표현하고, 상위 폴더는 두 개의 점(..)으로 표현합니다. sudo: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는 명령어 명령어 sudo는 사용자 환경에서,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는 명령어입니다.

기본적인 명령어(2)

rm: 폴더나 파일 삭제하기 명령어 rm은 폴더나 파일을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rm bye.txt ls [커맨드] rm 명령어를 통해 bye.txt를 삭제합니다. 명령어 rm은 단일 파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만약 폴더를 삭제하려면 옵션을 이용해야 합니다. rm -rf bye ls #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습니다. [커맨드] 옵션 -rf를 사용해 폴더를 삭제합니다. r은 "recursive"를 뜻하고 폴더를 지울 떄 사용하고, 옵션 f는 "force"를 뜻하고 질문을 받지 않고 지울떄 사용합니다. mv: 폴더나 파일의 이름을 변경, 또는 폴더나 파일의 위치 옮기기 mv는 move의 약자로, 폴더나 파일을 이동할 때 사용합니다. 명령어 mv를 통해 파일 "bye.txt"를 폴더 "bye"로 옮깁니다. 다..

기본 명령어

📌 Achievement Goals 리눅스 터미널을 실행할 수 있다. CLI를 이용한 작업과 GUI를 이용한 작업이 동일함을 이해할 수 있다. GUI의 변경사항을 CLI로 확인할 수 있다. CLI의 변경사항을 GUI로 확인할 수 있다. 리눅스 터미널에서 기본적인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pwd: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명령어 mkdir: 새로운 폴더를 생성하는 명령어 ls: 폴더나 파일의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 nautilus (Ubuntu), open (macOS): 현재 폴더를 파일 탐색기로 여는 명령어 cd: 폴더에 진입하는 명령어 touch: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 cat: 파일의 내용을 터미널에 출력하는 명령어 rm: 폴더나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 mv: 폴더나 파일의 위치를 이동하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