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사이클을 알아야 하는 이유 라이프 사이클을 모르라도 앱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여러가지 문제점을 접하게 될 텐데 어떤 부분에서 문제가 일어났는지 정확히 알 수 없게 된다. stateless의 경우 constructor가 실행이 되고 build가 실행되는게 끝입니다. stateful의 경우 constructor가 가장 먼저 실행이 되고 createState, initState, didChangeDependencies가 실행되고 build가 되고 위젯이 없어질때 dispose가 실행됩니다. setstate의 경우 위젯 내에서 state값이 변경될 때 실행이고 그 다음 build가 됩니다. didUpdateWidget의 경우 부모 위젯에서 업데이트가 발생할 때 실행됩니다. 코드를 보면서 이해해 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