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면접 정리/네트워크

IP와 포트

테오구 2021. 11. 15. 01:04
728x90

IP address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 PC의 주소를 나타내는 체계를 IP address(Internet Protocol address, IP 주소)라고 합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PC를 나타내는 IP 주소와 그 주소에 진입할 수 있는 정해진 통로, PORT(포트)에 대해 학습합니다.

 

네 덩이의 숫자로 구분된 IP 주소체계를 IPv4라고 합니다. IPv4는 Internet Protocol version 4의 줄임말로, IP 주소체계의 네 번째 버전을 뜻합니다.

 

터미널에서 간단한 명령어로 IPv4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을 열고, nslookup codestates.com 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

 

IPv4는 각 덩어리마다 0부터 255까지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몇 가지는 이미 용도가 정해져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IP 주소는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 localhost, 127.0.0.1 : 현재 사용 중인 로컬 PC를 지칭합니다.
  • 0.0.0.0, 255.255.255.255 : broadcast address,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장치와 소통하는 주소입니다. 서버에서 접근 가능 IP 주소를 broadcast address 로 지정하면, 모든 기기에서 서버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IPv6(IP version 6)

 

IPv6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Version 6 of the Internet Protocol Parts of this article (those related to RFC 8200 and RFC 8201) need to be updated. Please help update this article to reflect recent events or newly

en.wikipedia.org

PORT

로컬 PC의 IP 주소인 127.0.0.1 뒤에 :3000과 같은 숫자가 표현됩니다. 이 숫자는 IP 주소가 가리키는 PC에 접속할 수 있는 통로(채널)을 의미합니다. 리액트를 실행했을 때에는 로컬 PC의 IP 주소로 접근하여, 3000번의 통로를 통해 실행 중인 리액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트 번호는 0~ 65,535 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0 ~ 1024번 까지의 포트 번호는 주요 통신을 위한 규약에 따라 이미 정해져 있습니다. 그중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잘 알려진 포트 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 22 : SSH
  • 80 : HTTP
  • 443: HTTPS
728x90

'기술 면접 정리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N, WAN, MAN  (0) 2022.05.05
사설 네트워크/공용 네트워크  (0) 2022.05.04
프로토콜  (0) 2022.05.02
URL과 URI  (0) 2021.11.14
네트워크  (0) 2021.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