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빅오란 입력값이 무한대로 향할때 함수의 상한을 설명하는 수학적 표기 방법
빅오는 점근적 실행 시간을 표기할 때 가장 널리 쓰이는 수학적 표기법 중 하나이다.
점근적 실행(시간복잡도) : 입력값 n이 커질 때, 입력값이 무한대를 향할 때 리미트 함수의 실행 시간의 추이를 의미한다.
O(1) | 입력값이 아무리 커도 실행 시간은 일정 | 해시 테이블의 조합 및 삽입에 해당 |
O(log n) | 입력값에 영향을 받지만 크지는 않다. | 이진 검색이 해당 |
O(n) | 실행 시간이 입력값에 비례한다. | 최댓값, 최솟값을 찾는 경우 |
O(n log n) | 병합 |
매핑
매핑 타입은 키와 자료형으로 구성된 복합 자료형이며 자료형 딕셔너리이다.
집합
파이썬의 집합 자료형인 set은 중복된 값을 가지 않는 자료형이다.
a = set()
a
# set()
type(a)
# <class 'set'>
집합과 딕셔너리의 차이점
딕셔너리는 키/값 형태이지만 집합은 값만 선언하므로 선언 형태를 보면 알 수 있다.
a = {'a', 'b', 'c'}
type(a)
# <class 'set'>
a = {'a':'A', 'b':'B', 'c':'C'}
type(a)
# <class 'dict'>
set은 입력 순서가 유지되지 않으며 중복된 값이 있을 경우 하나의 값만 유지한다.
a = {3, 2, 3, 5}
a
# {2, 3, 5}
원시 타입
728x90
'코딩테스트를 위한 자료구조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타입 힌트 (0) | 2021.12.05 |
---|---|
우선순위 큐, 힙 (0) | 2021.10.30 |
자료구조 브라우저 뒤로 가기 앞으로 가기 (0) | 2021.10.30 |
최단 경로 문제 (0) | 2021.10.29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0) | 202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