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면접 정리/네트워크

스위치

테오구 2022. 5. 15. 11:34
728x90

연결된 장치의 물리적인 주소를 구분해서 해당 주소가 있는 장치로 데이터를 보내주는 방식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MAC주소를 이용합니다. 더미허브보다 속도저하가 되지 않습니다.

스위칭

PC A가 PC C로 데이터를 보낸다고 가정할 때

port1을 통해 스위치1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때 데이터에는 출발지 MAC주소 : A의 정보와 목적지 MAC주소 C의 정보를 담아 보냅니다.

스위치1에는 port의 번호와 출발지 Mac 주소를 저장합니다.

스위치1에서는 port1을 제외한 모든 포트에 데이터를 보내줍니다. 이를 플러딩이라고 합니다/

목적지 MAC주소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를 파기합니다.

스위치1이 port3을 통해 스위치2로 데이터를 보내고

이때 스위치2에는 port3의 정보와 출발지 MAC주소를 저장합니다.

스위치2에서 PcC로 데이터를 보내줍니다.

 

이제 다시 PcC에서 PcA로 정보를 보내주면 어떻게 될까요?

PcC는 출발지 MAC주소 : C와  목적지 MAC주소: A의 정보를 담은 데이터를 스위치2에 보내줍니다.

스위치2에서는 출발지 MAC주소가 Port3인 기록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C가 보낸 데이터는 다시 port3으로 돌아가야함을 알 수 있고 다른 Pc에게는 정보를 전달하지 않습니다. 이를 필터링이라고 합니다.

스위치 VS 더미허브

스위치

- 이더넷을 통한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 기존 허브에 스위칭 기능

- Point to Point 접속 가능 -> 속도 저하 개선

- 더미 허브와 외관상 차이 거의 없음

더미 허브

- 네트워크에 있는 장치 간 중계 역할만 담당하는 장비

- 장치가 많아지면 속도 저하

 

728x90

'기술 면접 정리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way handshake, 4-way handshake  (0) 2022.05.18
TCP세그먼트 TCP 헤더  (0) 2022.05.17
MAC주소  (0) 2022.05.14
데이터 링크 계층 개요  (0) 2022.05.13
이더넷  (0) 2022.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