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27

React에서의 데이터 흐름

상태 끌어올리기 상위 컴포넌트의 "상태를 변경하는 함수" 그 자체를 하위 컴포넌트로 전달하고, 이 함수를 하위 컴포넌트가 실행한다 예제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ParentComponent() {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날 바꿔줘!"); const handleChangeValue = () => { setValue("보여줄게 완전히 달라진 값"); }; return ( 값은 {value} 입니다 ); } function ChildComponent() { const handleClick = () => { // 이 버튼을 눌러서 부모의 상태를 바꿀 순 없을까? }; return ..

toy problem 02

fibonacci 문제 아래와 같이 정의된 피보나치 수열 중 n번째 항의 수를 리턴해야 합니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입니다. 그 다음 2번째 피보나치 수부터는 바로 직전의 두 피보나치 수의 합으로 정의합니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 문제의 접근 피보나치 수: 피보나치 수(영어: Fibonacci numbers)는 첫째 및 둘째 항이 1이며 그 뒤의 모든 항은 바로 앞 두 항의 합인 수열이다. 처음 여섯 항은 각각 1, 1, 2, 3, 5, 8이다. 편의상 0번째 항을 0으로 두기도 한다. 더보기 function fibonacci(n) { // TODO: 여기에 코드를 작성합니다. // fib(3) = fib(2) + fi..

toy problem 01

orderOfPresentation 문제: 말썽꾸러기 김코딩은 오늘도 장난을 치다가 조별 발표 순서가 담긴 통을 쏟고 말았습니다. 선생님께서는 미리 모든 발표 순서의 경우의 수를 저장해 놓았지만 김코딩의 버릇을 고치기 위해 문제를 내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김코딩은 모든 조별 발표 순서에 대한 경우의 수를 차례대로 구한 뒤 발표 순서를 말하면 이 발표 순서가 몇 번째 경우의 수인지를 대답해야 합니다. 총 조의 수 N과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발표 순서 k가 주어질 때, 김코딩이 정답을 말 할 수 있게 올바른 리턴 값을 구하세요. 모든 경우의 수가 담긴 배열은 번호가 작을수록 앞에 위치한다고 가정합니다. ex) N = 3일경우, [[1,2,3],[1,3,2],[2,1,3],[2,3,1],[3,1,2],[3,2,..

REST API

REST API란? HTTP 메소드를 이용해 서버와 통신합니다. GET을 통해 웹 페이지나 데이터를 요청하고, POST로 새로운 글이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DELETE로 저장된 글이나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REST API에서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 무언가를 대표하는 상태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 합니다. REST API는 웹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자원(Resource)을 HTTP URI로 표현하고,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요청과 응답을 정의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좋은 REST API를 디자인 하는 방법 REST 성숙도 모델 - 0단계 REST 성숙도 모델에 따르면, 0단계에서는 단순히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기만 해도 됩니다. 물론 이 경우..

toy problem 09

문제 : power 두 수를 입력받아 거듭제곱을 리턴해야 한다. Math.pow 사용 금지 O(logN)을 만족해야 한다. 나머지를 구하는 이유는 계산 결과가 컴퓨터로 나타낼 수 있는 수의 범위를 넘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연산이 끝난 뒤에 그 결과를 94,906,249로 나누려고 해서는 안 된다. 연산 중간에도 이 범위를 넘을 수 있기 때문에, 연산을 할 때마다 나머지를 구하고 그 결과에 연산을 이어가야 한다. let output = power(3, 40); console.log(output); // --> 19334827 문제의 접근 시간 복잡도 O(logN)을 만족해야한다. 먼저 O(logN)의 복잡도를 가지는 알고리즘은 무엇일까? 라는 질문에서 접근을 해야한다. 이 복잡도를 가진 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