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27

cors

예전에는 서버에서 직접 클라이언트를 가지고 있고 유저가 서버에 요청하면 서버에 있던 클라이언트를 유저가 받아가서 그 클라이언트에서 통신을 하거나 데이터를 보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singlepage application이 등장하고 앱들이 고도화 되어 youtubeapi를 이용한다던지 하였기 때문에 입니다. 이러한 요청을 Cross Origin이라고 하고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Cross origin에서 리소스를 요청하여 사용합니다.(ex 유튜브에서 girhub으로) mdn에서는 보안상의 이유로 cross origin 요청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어떠한 요청을 할지 모르기 때문 options 요약: 서버에서 allow하는 조건들을 다 갖추..

toy problem 04

bubbleSort 문제 정수를 요소로 갖는 배열을 입력받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리턴해야 합니다. 버블 정렬(bubble sort)은 여러 정렬 알고리즘(삽입 정렬, 퀵 정렬, 병합 정렬, 기수 정렬 등) 중 가장 기본적인 알고리즘입니다. 버블 정렬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습니다. 첫 번째 요소가 두 번째 요소보다 크면, 두 요소의 위치를 바꿉니다. (swap) 두 번째 요소와 세 번째 요소보다 크면, 두 요소의 위치를 바꿉니다. (swap) 1, 2를 마지막까지 반복합니다. (마지막에서 두 번째 요소와 마지막 요소를 비교) 1~3의 과정을 한 번 거치게 되면, 가장 큰 요소가 배열의 마지막으로 밀려납니다. 1~3의 과정을 첫 요소부터 다시 반복합니다. 5를 통해 두 번째로 큰 요소가 배열의 마지막 바로 ..

toy problem 03

isSubsetOf 문제 두 개의 배열(base, sample)을 입력받아 sample이 base의 부분집합인지 여부를 리턴해야 합니다. let base = [1, 2, 3, 4, 5]; let sample = [1, 3]; let output = isSubsetOf(base, sample); console.log(output); // --> true sample = [6, 7]; output = isSubsetOf(base, sample); console.log(output); // --> false base = [10, 99, 123, 7]; sample = [11, 100, 99, 123]; output = isSubsetOf(base, sample); console.log(outpu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