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27

환경변수 사용법(1)

export: 환경변수 확인하기 && 환경변수 임시 적용 Linux 운영체제에는 이미 많은 환경변수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터미널에 명령어 export 를 입력해, 기록된 환경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export 를 이용하면, 새로운 환경변수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새로운 환경변수 urclass="is good" 을 설정합니다. 이 때 등호 표시(Equal sign, =) 앞뒤에는 반드시 공백이 없어야 합니다. export urclass="is good" 명령어 echo 와 함께 환경변수를 입력하면, 환경변수의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환경변수의 앞에는 달러사인($)을 입력하여, 변수라는 뜻을 터미널에 전달합니다. 명령어 echo 와 함께 환경변수를 입력하면, 환경변수의 값을..

user, group, and other

user: user는 파일의 소유자입니다. 기본적으로 파일을 만든 사람이 소유자가 됩니다. 따라서 user를 소유자라고 하기도 합니다. group: group에는 여러 user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룹에 속한 모든 user는 파일에 대한 동일한 group 액세스 권한을 갖습니다. 많은 사람이 파일에 액세스해야 하는 프로젝트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각 user에게 일일이 권한을 할당하는 대신에 모든 user를 group에 추가하고, 파일에 group 권한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other: 파일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있는 다른 user입니다. 파일을 만들지 않은 다른 모든 user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other 권한을 설정하면, 해당 권한을 global 권한 설정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chmod: ..

Read, Write, Execute 권한

mkdir linux nano helloworld.js console.log("Hello World!");를 입력 후 Ctrl + X, Y, Enter 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새로운 파일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명령어 ls -l 을 프롬프트에 입력하고 Enter(엔터 키)를 누릅니다. 다음과 같은 출력을 만날 수 있습니다. 터미널에 출력된 결과 중에서, 가장 왼쪽의 표현을 살펴보겠습니다. 파일 helloworld.js는 -rw-r--r-- 이라고 출력되었고, 폴더 linux는 drwxr-xr-x 라고 출력되었습니다. 이 표현의 첫 시작인 - 와 d 는 각각 not directory와 directory를 나타냅니다. 폴더이면 d로, 파일이면 - 로 나타냅니다. 이어지는 r, w, x는 각각 rea..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문제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순위당첨 내용 1 6개 번호가 모두 일치 2 5개 번호가 일치 3 4개 번호가 일치 4 3개 번호가 일치 5 2개 번호가 일치 6(낙첨) 그 외 로또를 구매한 민우는 당첨 번호 발표일을 학수고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민우의 동생이 로또에 낙서를 하여, 일부 번호를 알아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당첨 번호 발표 후, 민우는 자신이 구매했던 로또로 당첨이 가능했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알아보고 싶어 졌습니다. 알아볼 수 없는 번호를 0으로 표기하기로 하고,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 6개가 44, 1, 0, 0, 31 25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당첨 ..

03_factorial

문제 수를 입력받아 n-factorial(n!; 엔-팩토리얼) 값을 리턴해야 합니다. n! 은 1부터 n까지 1씩 증가한 모든 값의 곱입니다. 입력 let output = factorial(10); console.log(output); // --> 3628800 더보기 function factorial(num) { // TODO: 여기에 코드를 작성합니다. // 별도의 최적화 기법(memoization)은 금지됩니다. if(num === 0){ return 1 } else if(num === 1){ return num } return num * factorial(num-1) }

코플릿/재귀 2021.11.04

04_fibonacci

문제 수(num)를 입력받아 피보나치 수열의 num번째 요소를 리턴해야 합니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입니다. 그 다음 2번째 피보나치 수부터는 바로 직전의 두 피보나치 수의 합으로 정의합니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 입력 let output = fibonacci(5); console.log(output); // --> 5 output = fibonacci(9); console.log(output); // --> 34 더보기 function fibonacci(num) { if (num

코플릿/재귀 2021.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