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27

im-sprint-tree-ui

더보기 const menu = [ { type: 'group', name: '음료', children: [ { type: 'group', name: '콜드 브루', children: [ { type: 'item', name: '나이트로 콜드 브루' }, { type: 'item', name: '돌체 콜드 브루' }, { type: 'item', name: '제주 비자림 콜드 브루' }, { type: 'item', name: '콜드 브루' }, ], }, { type: 'group', name: '프라푸치노', children: [ { type: 'item', name: '애플 쿠키 크림 프라푸치노' }, { type: 'item', name: '더블 에스프레소 칩 프라푸치노' }, { type: 'it..

beesbeesbees

상속에 관한 문제인 것 같다. Grub.js: Grub은 다른 모든 Bee의 기반이 됩니다. 더보기 class Grub { // TODO.. constructor(age, color, food) { this.age = 0 this.color = 'pink' this.food = 'jelly' } eat() { return 'Mmmmmmmmm jelly' } } module.exports = Grub Bee.js 더보기 const Grub = require('./Grub') class Bee extends Grub { // TODO.. constructor() { super() // 부모의 constructor를 받아옵니다. this.age = 5 // 부모의 constructor를 업데이트 해줍니다. t..

redux reducer

Reducer reducer은 위에서 말했듯이 dispatch열차를 타고온 action의 type을 확인해서 그에 맞는 동작을 하는 곳입니다. 동작을 하기 때문에 function으로 작성이 됩니다. 더보기 import { REMOVE_FROM_CART, ADD_TO_CART, SET_QUANTITY } from '../actions/index' import { initialState } from './initialState' const itemReducer = (state = initialState, action) => { switch (action.type) { case ADD_TO_CART: //TODO return Object.assign({}, state, { cartItems: [...state..

redux dispatch

Dispatch Dispatch는 위에서 Action Creater로 return 해준 Action을 파라메터로 받아서 store의 reducer에게 넘겨주는 역할을 해주는 열차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더보기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useDispatch, useSelector } from 'react-redux' import { removeFromCart, setQuantity } from '../actions' import CartItem from '../components/CartItem' import OrderSummary from '../components/OrderSummary' export default function Shop..

redux action

1-1. Action action은 중앙 저장소에 저장된 state에 “무슨” 동작을 할 것이지 적어놓는 객체입니다. action에는 type이 필수로 필요합니다. // action types export const ADD_TO_CART = 'ADD_TO_CART' export const REMOVE_FROM_CART = 'REMOVE_FROM_CART' export const SET_QUANTITY = 'SET_QUANTITY' export const NOTIFY = 'NOTIFY' export const ENQUEUE_NOTIFICATION = 'ENQUEUE_NOTIFICATION' export const DEQUEUE_NOTIFICATION = 'DEQUEUE_NOTIFICATION' // act..

react-custom-component tag

import { useRef, useState } from 'react' import styled from 'styled-components' // TODO: Styled-Component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여러분만의 tag 를 자유롭게 꾸며 보세요! export const TagsInput = styled.div` margin: 8rem auto; display: flex; align-items: flex-start; flex-wrap: wrap; min-height: 48px; width: 480px; padding: 0 8px; border: 1px solid rgb(214, 216, 218); border-radius: 6px; > ul { display: flex; flex-wrap: wrap..

피보나치 수 5

문제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된다. n=17일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써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n이 주어졌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2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첫째 줄에 n번째 피보나치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0 예제 출력 1 55 const fs = require("fs"); cons..

백준 2021.11.01

10172 ( 개 )

문제 아래 예제와 같이 개를 출력하시오. ​ 입력 없음. ​ 출력 개를 출력한다. ​ 예제 출력 1 print('|\\_/|\n|q p| /}\n( 0 )"""\\\n|"^"` |\n||_/=\\\__|') print('|\\_/|') print('|q p| /}') print('( 0 )"""\\') print('|"^"` |') print('||_/=\\\__|') print("|\\_/|") print("|q p| /}") print("( 0 )\"\"\"\\") print("|\"^\"` |") print("||_/=\\\__|") 문자 설명 \n 줄바꿈 \t 수평 탭(tab) \\ '\'(역슬래시) 문자 자체를 의미 \' 작은따옴표(') 문자 자체 \" 큰따옴표(") 문자 자체

백준 2021.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