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27

isGreaterThan30

문제 온도를 입력받아 해당 온도가 30이 넘는지 확인 후 알맞은 값을 리턴해야 합니다. 핵심 조건문의 사용 방법을 알아야한다 더보기 function isGreaterThan30(temp) { // TODO: 여기에 코드를 작성합니다. // 온도가 30이 넘으면 에어컨을 켜야겠다. // 아니면 여름이 매우 덥다 if(Number(temp) >= 30){ return '에어컨을 켜야겠다!' }else { return '여름이 매우 덥네요' } }

코플릿/조건문 2021.10.07

isOldEnoughToDrink

문제: 나이를 입력받아 술을 마실 수 있는지(18세 이상) 여부를 리턴해야 합니다. 출력 let output = isOldEnoughToDrink(18); console.log(output); // --> true output = isOldEnoughToDrink(17); console.log(output); // --> false 핵심: 조건문을 사용하는 법을 아는지 물어보는 문제 수도코드 나이가 18세 이상이면 true를 리턴 미만이면 false를 리턴 더보기 function isOldEnoughToDrink(age) { // TODO: 여기에 코드를 작성합니다. // 나이를 변수로 만둘고 입력 받고 // 나이가 18세 이상이면 true // 18시 미만이면 false if( age >=18){ re..

코플릿/조건문 2021.10.07

프로토타입 체인

JavaScript에서 구현할 때에는 프로토타입 체인을 사용합니다. 예시를 들기 위해, 학생(Student)과 사람(Human)이라는 클래스가 각각 존재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클래스 Human의 메소드와 속성을 객체로 구현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class Human { constructor(name,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sleep() { console.log(`${this.name}은 잠에 들었습니다`); } } let kimcoding = new Human('홍코딩', 28); // 속성 kimcoding.age; kimcoding.gender; // 메소드 kimcoding.eat(); kimcoding.sleep(); 학생은 학생이기 이전..

프론트엔드 2021.10.05

객체 지향 언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라는 패러다임이 등장하기 전 절차적 언어가 있었습니다. 우리는 앞서 모든 것을 절차로 생각했습니다. 초기의C가 그러한 언어입니다. 그러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라는 패러다임이 등장하면서, 단순히 별개의 변수와 함수로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의 접근과, 데이터의 처리 과정에 대한 모형을 만들어 내는 방식을 고안해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와 기능이 별개로 취급되지 않고, 한번에 묶어서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객체 지향의 특징은 빠르게 현대 언어에 적용이 되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엄밀히 말해 객체 지향 언어는 아니지만, 객체 지향 패턴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OOP OOP는 프로그램 설계 철학 중 하나입니다. OOP는 객체로 그룹화됩니다. 이 객체는 한번 ..

프론트엔드 2021.10.05

클래스와 인스턴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하나의 모델이 되는 청사진을 만들고, 그 청사진을 바탕으로 한 객체를 만드는 프로그래밍입니다. 가령 커피를 만든다고 가정해 봅시다. 가장 먼저 해줘야 할 일은 원두를 갈아주어야 하는 거겠죠? 원두를 갈아주는 패턴(class)을 만들어주고 물을 넣어주는 패턴을 넣어주면 아메리카노를 만들어주는 기계(instance)가 탄생합니다. 또한 원두를 갈아주는 패턴에 우유를 넣어주는 패턴을 넣어주면 카페라떼를 만들어주는 기계가 탄생하게 됩니다. 이처럼 객체지향을 이용하면 재사용성이 높아집니다. ES5 function coffeeMaker(shots){ // 인스턴스가 만들어질 때 실행되는 코드 } ES6 class coffeeMaker{ constructor(shots){ this.sho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