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 계층의 데이터에서 TCP헤더를 붙여 캡슐화하면 TCP 세그먼트가 됩니다.
전송 계층 통신 방식
연결형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연결을 확립하는 연결형 통신을 합니다.
비연결형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효율성(빠르게, 일방적인 통신) 중요시 하는 통신
TCP세그먼트, TCP 헤더
출발지 포트 번호(16비트) | 목적지 포트 번호(16비트) | ||
일련번호(32비트) | |||
확인 응답 번호(32비트) | |||
헤더 길이 | 예약 영역 | TCP 플래그(코드 비트) | 윈도우 크기 |
체크섬 | 긴급 포인터 | ||
TCP 옵션 |
일련번호(32비트): 송신자가 지정하는 순서 번호, (ex: 100이라는 번호를 가진 데이터를 전송한 다음에는 101번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송신할 때마다 고유한 번호를 부여해서 전송을 시도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sequence number일련 번호 입니다.
확인 응답 번호(32비트):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했을시 보내는 번호, 정상적으로 수신 했을때 받은 sequence number에 1을 더해서 해당 데이터를 정확히 받았음을 알립니다.
헤더 길이: 헤더 길이 파악, 옵션 필드가 가변적인 이유 때문에 헤더의 길이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
예약 영역: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남겨둔 예비 필드
TCP 플래그(코드 비트): 6개의 영역으로 나뉨 URG, ACK, PSH, RST, SYN, FIN 이 코드 비트는 각 비트가 활성화 되면서 전송에 사용됩니다.
윈도우 크기: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TCP 흐름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필드,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 합니다.
체크섬: 오류 검출 용도, 데이터를 보내는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검사하는 기능 데이터에 대해 체크섬 방식으로 계산한 결과값을 체크섬 필드에 저장
긴급 포인터(16비트): 긴급 데이터 처리, 코드 비트 필드의 URG 비트 설정과 함께 사용합니다. 보내는 측에서 긴급하게 처리해 주기를 원하는 긴급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
'기술 면접 정리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용계층 (0) | 2022.05.19 |
---|---|
3-way handshake, 4-way handshake (0) | 2022.05.18 |
스위치 (0) | 2022.05.15 |
MAC주소 (0) | 2022.05.14 |
데이터 링크 계층 개요 (0) | 2022.05.13 |